본문 바로가기
Study/생명공학

[실험실 기초]현미경의 종류, 광학현미경(Light microscope, bright-field microscope)이란? 🔬

by Sud0l 2020. 10. 16.

전에 위상차 현미경에 대해 아주 간단하고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 드렸으니, 오늘은 현미경의 가장 기본의 기본!

광학현미경에 대해 설명해 드릴게요:)

 

1. 위상차현미경

2. 광학현미경

3. 미분간섭현미경

4. 암시야현미경

5. 전자현미경

6. 실체현미경

7. 형광현미경

8. 편광현미경

광학현미경이란?

광학현미경은 맨눈으로 볼 수 없거나 잘 보이지 않는 아주 작은 물체나

구조의 확대상을 만들어 보여주는 광학기기입니다. 

빛을 광원으로 사용하는 현미경의 총칭이며 눈으로 직접 관찰하거나 컴퓨터에 연결하여 관찰할 수 있습니다.

이때 빛은 일반적으로 가시광선을 사용합니다.

 

 

광학현미경의 역사

광학현미경은 네덜란드의 드레벨(C. J. Drebbel, 1572-1633)이 1590년에 발명한 것으로 전해진다.

그러나 얀센(Z. Janssen, 1585-1638) 또는 1608년에 망원경을 발명한 리퍼쉐이(H. Lippershey, 1570-1619)가 발명했다는 주장도 있다. 지금은 현미경 영상을 맨눈으로도 보지만 영상 감지기(image sensor)를 써서 디지털 신호로 바꾸어 컴퓨터에 저장한 다음, 필요한 대로 영상처리를 한 뒤 화면 장치에 띄워 본다. 또한 광원도 지금까지는 대개 백열등이나 할로겐 등을 써 왔지만 앞으로는 엘이디나 레이저를 더 많이 쓸 것이다. 이러한 광원과 영상 감지기의 발전으로 이제는 아주 짧은 시간에 시료 안에서 일어나는 물리적, 화학적 변화를 현미경으로 들여다 볼 수 있게 되었다.

 

기술의 발전으로 광학현미경에 나타난 가장 큰 변화는 주사형 현미경의 출현비선형 광학 현상을 이용한 회절 한계 분해능의 극복이다. 주사형 현미경은 넓은 광원을 써서 시료면 전체에 빛을 비추는 대신, 점광원에서 나오는 빛을 모아 아주 작은 상을 시료 표면에 만들고, 그 상으로 시료 표면을 훑어가면서 시료에서 반사되거나 투과된 빛을 다시 모아 기록한 신호를 컴퓨터에 저장하여 시료 표면의 낱낱의 점에 대응시킨다. 시료 표면 전체를 그렇게 훑은 다음에는 받은 신호를 모두 모아 영상을 합성한다. 이렇게 하면 시료의 3차원 현미경 영상을 꾸밀 수 있고, 분해능도 더 좋아진다. 대표적인 것이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laser scanning confocal microscope)이다.

 

reference : https://www.knun.net/mobile/article.html?no=14317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모습입니다.

 

참고문헌

ko.wikipedia.org/wiki/%EA%B4%91%ED%95%99_%ED%98%84%EB%AF%B8%EA%B2%BD

terms.naver.com/entry.nhn?docId=5145467&cid=61234&categoryId=61234

terms.naver.com/entry.nhn?docId=3536928&cid=60217&categoryId=60217

https://www.knun.net/mobile/article.html?no=14317